돌아가기
이전글 다음글
다붓다붓
전라남도 미디어아트 쇼룸
< 다붓다붓 >
전라남도 미디어아트 쇼룸

2024.11.06.-11.15.
11:00 - 20:00

피어 컨템포러리
piercontemporary
서울시 성동구 성수일로10가길 18 B1

 
*다붓다붓
순우리말로 여럿이 다 매우 가깝게 붙어 있는 모양을 뜻함.

전시 제목 “다붓다붓”은 여럿이 다 매우 가깝게 붙어 있는 모양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이번 전시의 정체성과 전남 특화자원이 하나로 모여 이루는 공간적 상징성을 담고 있습니다. 
서울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전남의 독창적인 자원을 재해석한 미디어아트로 구성된 이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체험과 감각적 몰입을 선사합니다.

총 6개의 테마존으로 구성된 이번 쇼룸은 
전남의 자연, 시간, 빛, 사유, 계절을 주제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몰입형 미디어아트를 선보입니다. 

특히 1면에서 3면에 이르는 다채로운 미디어아트 구성은 
전남의 정서를 깊이 있게 담아내며, 
관람객들이 각각의 테마 속에 몰입하여 
마치 전남의 자연과 시간 속을 여행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전시 공간 곳곳에는 
전남의 명소를 배경으로 한 XR 포토존과 전통차 시음 행사를 마련하여 관람의 여운을 더하며, 
남도 문화를 주제로 한 한국무용과 스트릿댄스 퍼포먼스도 함께 진행됩니다. 
이로써 전시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남도의 다양한 정서를 관객들에게 체험하게 합니다.

“다붓다붓”은 전남의 아름다움을 도심 속에서 감각적으로 만나는 기회를 제공하며, 
전남의 문화와 자연이 담긴 특별한 전시 경험으로 관람객들을 초대합니다.

주최: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주관: (주)뉴작

#피어컨템포러리 #piercontemporary #다붓다붓 #다붓다붓미디어아트전 #미디어아트 #미디어아트전시 #MediaArt #MediaArtExhibition #힐링전시 #성수동전시 #성수동미디어아트 #뉴작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라남도 #전라남도미디어아트쇼룸
부대행사

*허선영 한국무용 공연*
2024. 11. 06. (수)
14:00
16:00
18:00
(총 3타임)

*김채린 스트릿댄스 공연*
2024. 11. 07. (목)
14:00
16:00
18:00
(총 3타임)


뉴작포스터.png
< 다붓다붓 > 전시 콘텐츠 정보
noname01_JPG.jpg
PHOTO ZONE.

전남의 아름다운 풍경을 담은 배경에서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하는 XR 포토존
원하는 배경을 선택하여 폴라로이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음.


ZONE. 자연의 쉼

​1. 담양 죽녹원아트센터 콘텐츠- Take root in the sky
천년 담양 대나무의 역사와 선한 영향력을 지닌 대숲의 미학

2. 보성 한국차박물관 콘텐츠–찻잔
보성녹차를 주제로, 찻잔에 피어난 전통 단청문양과 꽃,나비 등을 표현


ZONE. 시간의 온기

1.강진 고려청자디지털박물관 콘텐츠-비색의 숨결
청자의 신비로운 빛깔의 미묘한 변화를 표현

 2.강진 고려청자디지털박물관 콘텐츠-천년의 미감
고려청자의 미학적인 절정기의 '상감' 기법을 영상으로 표현

 3. 담양 죽녹원 아트센터 콘텐츠-바람의 노래
바람의 여정을 통해 펼쳐지는 대나무 숲의 사계절


ZONE. 빛의 울림

1. 강진 고려청자디지털박물관 콘텐츠-푸른 꿈의 여행자, 고려 청자의 숨결
고려시대 7개의 상형청자를 모티브로, 고려청자의 문양,비색,형태를 표현한 판타지 세계


 ZONE. 사유의 숲

1. 강진 다산박물관 콘텐츠-다산이 걸어온, 뿌리의 길
정호승 시인의 ‘뿌리의 길’을 모티브로, 다산 정약용이 유배지 강진에서 보낸 시간을 통해
인간의 삶의 의미를 표현한 작품

2. 담양 대나무박물관 콘텐츠-대나무 숲의 사계
대나무의 사계를 계절마다의 소리. 날씨 등으로 표현


ZONE. 계절의 시

1. 보성 한국차박물관 콘텐츠 – 한국 차밭의 사계
보성의 차밭을 배경의 사계절의 변화를 표현

2. 고흥 목일신거리 특화콘텐츠
고흥 출신의 시인이자 아동문학가인 목일신을 기리는 목일신거리에서 선보이는 야간 콘텐츠로 고흥군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자연경관, 우주산업,농수산물을 주제로 한 비주얼 아트

 
*별서정원 랜티큘러 액자*

조선시대 선비들이 세속을 떠나 자연 속에서 학문과 여유를 즐기기 위해 만든 별서정원.
담양의 소쇄원과 강진의 백운동정원은 그러한 별서정원의 대표적인 예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유유자적한 삶을 꿈꿨던 선비들의 이상이 담겨 있습니다.
랜티큘러 기법이 적용된 이 액자는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별서정원의 아름다운 풍경과 조선 선비들의 고요한 삶의 철학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KakaoTalk_20241106_193216545_02.jpg
KakaoTalk_20241106_192745539.jpg
KakaoTalk_20241106_192621872_01.jpg
KakaoTalk_20241106_192621872.jpg
KakaoTalk_20241105_215332866.jpg
KakaoTalk_20241105_215004518.jpg